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7110)
도서관법 일부개정법률안 공포 (2022.1.18.) 2022년 1월 18일 정부는 국회에서 의결된 '도서관법 일부개정법률'을 관보에 게재하고 공포하였다. 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은 2021년 2월 15일 임오경 의원 등 11인이 제출한 것으로 2021년 12월 31일 본회의에서 원안 가결로 처리된 후 2022년 1월 7일 정부로 이송된 것이다. 정부는 이송된 일부개정법률을 법률 제18763호로 공포했다. 관보에 게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번 개정안의 대상이 된 조항은 '도서관법' 제14조로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위원장이 매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이하 종합계획)에 포함되는 내용에 현행 3가지 사항에 더해서 최근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등에 대한 도서관의 대책을 종합게획에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이번 팬데믹 상황이 워낙 전지구적으로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0대 대통령 후보 공약집... 도서관은? 3월 9일,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있다. 엄청 중요한 시기이니, 선거에 임하는 시민의 자세를 다시금 가다듬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후보들이 과연 우리나라의 현재 문제 해결과 미래를 위해 어떤 비전과 정책을 가지고 있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봐야 할 것이다. 물론 모든 분야를 다 그러기는 쉽지 않다. 시민으로서 알고 있거나 알아야 하거나 생각해야 할 것이 각자 다르고 또 제한적일테니까... 국가를 이끌어 가고자 하는 미래 비전이라든가 환경문제, 국민 모두의 더 안정된 삶의 기반이 되어야 할 각종 정책 과제 등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더 알아보는 걸로 하고... 챙겨야 할 부분은 내가 일했던, 그래서 여전히 관심을 가지고 있는 도서관 관련 정책이 뭔가 하는 것이다. 사실 이번 선거 후보가 모두 14명이나 되고 그 ..
<대구일보> '새로운 문화 창고' 시리즈 기사 가 2021년 1월 10일 '대구 2.28기념학생도서관'을 시작으로 48곳의 대구와 경북지역 소재 공공도서관을 취재해 소개하는 시리즈 '새로운 문화 창고'를 2022.2.22. 48번째 경주 송화도서관 소개 기사로 마무리했다. 지역 언론이 자기 지역 도서관을 새롭게 바라보고 시민들에게 도서관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소개하는 시리즈 기사를 1년 넘게 해 온 것은 매우 특별하고 또 의미가 크다 생각한다. 이런 시리즈 지사를 낸 에 감사한다. 기사 작성에는 꽤 많은 기자들이 참여했다. 기자들에게도 나름 색다른 의미가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도서관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었지 않았을까? 그래서 이후 기자로서의 활동에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확보하는데 있어 도서관을 더 잘 활용하고 계시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첫번..
<책 읽는 도시> (양리리)를 읽고~~ 2013년 사가독서 독후감 한 때 서울시 어공(어쩌다 공무원이었다가 지금은 어제까지 공무원)이던 시절에는 사가독서 제도가 있었다. 책을 읽겠다고 하면 하루인가 특별 휴가를 얻을 수 있었다. (지금도 그렇게 하는지 모르겠다. 검색해 보니 도봉구가 2020년 사가독서제도를 시행한다는 문서를 볼 수는 있었는데...) 아무튼, 나도 그 제도를 매년 한 번씩은 사용했었다. 사가독서 휴가를 신청하면 스스로 알아서 책을 읽고 독후감을 내야 한다. (다른 방법도 있었는데 난 늘 책을 읽는 걸로~~^^) 얼마 전 우연히 오래된 컴퓨터 파일들 볼 기회가 있었는데, 거기서 예전에 제출했던 보고서 하나를 발견(?)했다. 그건 당시 시민 양리리 님(지금은 서대문구 구의원으로 활발하게 활동 중이시다)이 서울연구원 프로젝트로 쓴 ..
2021년 경기도 도서관 정책 평가 요즘 도서관 관련 언론 보도 내용 중에는 '2021년 경기도 도서관 정책 평가' 결과에 따른 시상 내용이 많이 보도되고 있다. 이 평가는 경기도가 '경기도 도서관 및 독서문화진흥조례' 제28조(도서관평가)에 따라 매년 6월 30일 기준으로 지난 1년간의 산하 31개 시/군의 도서관 정책 성과를 평가해 우수한 지자체를 선정 시상하는 내용으로 매년 진행되고 있다. 2021년도 경기도 도서관 정책 평가 결과는 2021년 11월 26일 경기도 내부에서 평가결과 보고에 따라 확정되었다. 그 보고문서는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이 발행하는 에서 살펴보니까 경기도가 공공도서관 관련해서 평가를 실시한 건 2015년부터인 것 같다. 연감에 수록된 내용을 근거로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최우수와..
국회예산분석처의 <2022년도 예산안 총괄 분석>에서 언급된 도서관 관련 내용을 살펴보다 국회예산분석처가 작성한 에서 도서관 관련한 내용을 찾아봤더니 3가지 항목에서 언급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내용에 대해서 일차적으로 간단하게 살펴보고 나름의 생각을 적어 본다. * 보고서는 I, II등 2권으로 되어 있고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396쪽 (3) 지역균형발전 성과관리 기준 개선 필요 첫째, 정부는 지역의 발전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 평가하기 위한 균형발전지표를 개발하였으나, 다양한 지역불균형 측정지표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 내용에서 앞으로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것이 매우 중요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만든 ‘지역균형발전지표’에 대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국가예산정책처는 핵심지표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내 ..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21년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 운영 용역 추진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를 유영하다가 입찰정보 게시판에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21년 시행계획 추진실적 평가 운영' 용역 입찰 공지를 보게 되었다.. 뭐지? 공개된 '사업제안서'에 적힌 사업목적을 보니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따른 관계 중앙행정기관 및 시/도의 2021년 시행계획을 점검하고 평가해 도서관 정책 추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행위는 '도서관법' 제15조와 같은 법 시행령 제8조의2에 근거하고 있다고 한다. '도서관법' 일부가 2020년 6월 9일 개정되면서 도서관위원회 위원장은 중앙행정기관 장과 시/도지사가 해당 연도 시행게획과 전년도 추진실적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올해 처음으로 2021년도 한 해 추진한 실적에 대해 평가를 시도하는 것인가..
제7기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회의 개최 현황 뭘 하다가 정리한 자료... 제7기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회의 개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