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를 즐기자

광개토대왕비 서체가 개발되다...

지금은 손으로 글씨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손글씨를 보고 사람됨을 짐작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손으로 글씨를 쓰던 시대는 숱한 시간을 지나야

자기의 글씨가 만들어지고, 그래서 글씨체에 그 사람이 들어있다고

말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특히 붓글씨를 쓰는 것은 자신을 쓰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요즘은 자기의 글씨가 아니라 대부분 만들어진 글씨,

즉 컴퓨터 등에 이미 만들어진 글씨체인 서체 중에서 마음에 드는 것을

골라 쓰기만 하니.. 이젠 글씨로 사람됨을 알아내기는 불가능해 졌다.

그래서 요즘은 인기있는 서체를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하는 것 같고,

참으로 서체도 다양하고 많다..

오늘 기사를 보다보니 또 하나의 새로운 서체,

즉 광개토대왕비의 예서체 글씨가 서체로 개발되었다.

서체를 개발한 주인공은 경남도청 공보관실 공무원인 윤판기 씨라고 한다.

몇 자 남지 않은 광개토대왕비의 글씨를 모체로 해서 총 9588자의 글씨를 개발했다고.

개발자는 이미 이 글씨체로 서예대전에서 수상을 한 경력을 가진 서예가로서

광개토대왕비가 범박하면서도 고졸한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고 평가하고,

그래서 우리민족 정서와 잘 어울리는 글자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나도 붓글씨를 배울 때광개토대왕비를 연습한 적이 있었다..

뭔가 투박한 것 같으면서도 힘이 느껴지는 글씨체..

어눌한 것 같으면서도 그 내면에 묵직한 세상을 담고 있는 것 같은 느낌..

아마도 당시 이 비의 주인공인 광개토대왕 당시의 세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기반이 되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으리라..

* 이 내용에 대한 기사는 웹 검색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위키의 내용은 여기>

* 광개토대왕비에 대한 자료가 얼마나 있을까 도서관 검색을 시도..

국립중앙도서관은 일시적으로 연결이 안 되어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4u.net)를 이용했다.

전체항목을 대상으로 "광개토대왕비"를 검색어로 사용했더니

국내학술지논문 8건, 학위논문 4건, 단행본 140건이 있는 것으로 검색결과가 나왔다.

해외학술지논문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