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관 읽기

문화부 등, 작은도서관 문화예술학교 “신통방통 문화 별별 이야기” 개최 (5/4-8/31)

광주에서 이런 프로그램이 있는 것을 오늘 알았다. '작은도서관 문화예술학교'라는 이름으로 그림책과 미술, 연극, 영화, 음악, 디자인 등 문화 전반의 이야기를 듣고 해 보고 함으로써 도서관에서의 다양한 문화활동 역량을 키우는 것이 목적으로 생각된다. 무려 30강좌에 90시간에 이르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내용과 강사를 보니 만만치 않은 내공을 가지고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왜 이런 프로그램을 굳이 작은도서관에서 하는 것일까?

*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카페 안내글 보러가기

----------------------------------------

(아래는 카페 안내글을 전부 가져온 것임)

작은도서관 문화예술학교신통방통 문화 별별 이야기

* 내용 : 그림책과 미술 X8228; 연극 X8228; 영화 X8228; 음악 X8228; 디자인의 만남

* 목표 : 지역문화예술활동가 양성 및 역량강화

* 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 주관 : 아이숲어린이도서관

* 일정 : 201154~831(30강좌 90시간) 오전 10~ 오후 1

* 교육장소 : 아이숲어린이도서관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롯데슈퍼센터4)

* 대상 : 작은도서관 자원봉사자 및 지역주민 25

* 문의 및 접수 : 아이숲어린이도서관 652-1279 (아이친구)kidforest@hanmail.net

* 준비물 : 개인용 컵 (일회용품 사용 안하기)

회차

교육

일자

시작-

종료시간

교육주제

강사

활동내용

활용

교보재

1

54

10:00~13:00

작은도서관과 문화예술교육

정민룡

(광주북구문화의집 관장)

지역사회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해

2

511

10:00~13:00

그림책은 멋진 미술관 1

위명화

(화가, 화가마을 원장)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놀이

3

518

10:00~13:00

그림책은 멋진 미술관 2

위명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놀이

4

525

10:00~13:00

그림책은 멋진 미술관 3

위명화

그림책을 활용한 미술놀이

5

61

10:00~13:00

자운영 아트의 문화예술교육

박태규

(화가, 자운영아트 대표)

미술을 통한 환경생태교육

6

62

10:00~13:00

그림책작가와 만남1

<아기고양이 미로>

<고물 자전거>

주홍

(화가, 그림책작가)

정크 아트로 만든 그림책

<아기고양이 미로> <고물 자전거>

7

68

10:00~13:00

음악활동 워크숍

-아카펠라 1

김혜일

(문화예술공동체 아우름 대표)

음악놀이

8

69

10:00~13:00

음악활동 워크숍

- 아카펠라 2

김혜일

아카펠라의 이해와 실습

9

615

10:00~13:00

음악활동 워크숍

- 아카펠라 3

김혜일

아카펠라 실습

10

616

10:00~13:00

작은도서관 문화예술프로그램 사례 1

강영미X8228;김정선

(제주설문대도서관 책놀이 강사)

제주 설문대 어린이 도서관

문화예술활동

11

622

10:00~13:00

창의감성시대, 작은도서관의 마을 만들기

김보성

(모단스쿨 대표,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

왜 문화예술교육인가?

12

623

10:00~13:00

문화예술활동 어떻게 기록할까

정우영

(영화감독)

기록의 중요성과 기록 방법

13

629

10:00~13:00

아름다움을 만드는 기술, 디자인

윤호섭

(국민대 환경디자인연구소장)

시각적 사고력 높이기

<사회를 위한 디자인>

<윤호섭>

14

630

10:00~13:00

유럽 책마을 이야기

백창화

(숲속작은도서관장)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의

책마을 탐방기

<유럽, 책마을을 가다>

15

76

10:00~13:00

몸으로 배우는 연극놀이1

송은정

(극단 토박이 단원)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

16

77

10:00~13:00

빛그림 제작 워크숍

문화X8228;박진희

(아이숲도서관 빛그림제작단)

빛그림 제작과 실습

17

713

10:00~13:00

몸으로 배우는 연극놀이2

송은정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

18

714

10:00~13:00

작은도서관 문화예술프로그램 사례 2

임숙자

(부산맨발동무도서관장)

부산맨발동무도서관 문화예술활동

19

720

10:00~13:00

몸으로 배우는 연극놀이3

송은정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

20

721

10:00~13:00

영국의 독서교육

-작가와 만남

김은하

(고려대 사범대학 강사)

영국의 독서교육 사례

<영국의

독서교육>

21

727

10:00~13:00

그림자극 워크숍1

박수경

(광주초등교육연극연구회 놀이터단원)

그림자극 제작과정 실습

22

728

10:00~13:00

그림자극 워크숍2

박수경

그림자극 제작과정 실습

23

810

10:00~13:00

영상매체와 그림책

김원중

(광주국제영화제 사무국장)

영상과 그림책의 만남

24

811

10:00~13:00

그림책 작가와 만남2

<구름빵> <먼지깨비>

김향수

(그림책 작가)

빛그림 사진 그림책의

제작 원리와 효과

<구름빵> <먼지깨비>

25

817

10:00~13:00

그림책, 영화를 만나다

김원중

원작과 만난 영화

26

818

10:00~13:00

그림책을 활용한

말랑말랑 책놀이

김희련

(화가, 자운영아트 강사)

공동작품 만들기

27

824

10:00~13:00

어린이 책문화축제, 기획에서 실행까지

정봉남

(아이숲어린이도서관장)

북 페스티벌(책잔치) A~Z까지

28

825

10:00~13:00

작은도서관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

민문식

(교육문화공동체 결 상임위원)

교육문화공동체학교로서

작은도서관

29

827

09:00~19:00

문화공간을 찾아서

김성란

(춘천담작은도서관장)

춘천 담작은도서관 &애니메이션 박물관

30

831

10:00~13:00

우리동네 문화예술

어떻게 꽃피울까?

김용재

(문화예술공동체 터 대표)

작은도서관 문화예술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활동내용을 중심으로 토론

수료식